귀 안쪽 욱신 거리는 이유 ‘이것’ 때문?

귀 안쪽 욱신 거리는 경험을 해보셨나요? 저는 현재 외이도염 때문에 이비인후과에 가고 있는데요. 초기에는 하루 ~ 이틀에 한 번 씩 병원에 갔지만, 요즘에는 5일에 한 번 정도 가고 있습니다. 외이도염 증상으로 귀 가려움증이 동반되었는데요. 한 번은 가려워서 꽤 세게 긁었더니, 귀가 욱신거리더라고요.

이처럼 귀 안쪽이 욱신 거린다면 귀 관련 질환 때문일 수 있는데요. 외이도염 말고도, 중이염, 이관 기능 문제, 귀지의 과다 축적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하나 하나 증상 및 치료 방법과 예방까지 다뤄보겠습니다. 귀 안쪽이 욱신 거려서 불편하거나 걱정인 분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귀 안쪽 욱신

귀 안쪽 욱신 거리는 원인

귀 안쪽 욱신 거리는 증상은 대부분 염증, 감염, 외부 자극, 신경 관련 문제일 수 있습니다.

중이염

중이염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중이는 안 쪽 귀라고 생각하시면 좋은데요.

귀 안쪽의 욱신거리는 통증이 대표적인 중이염 증상입니다. 귀에서 진물이나 고름이 나올 수 있으며, 귀가 먹먹한 느낌이 듭니다. 특히 어린 아이 같은 경우에는 발열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

중이염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자연 치유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심할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며, 통증완화를 위한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같은 진통제를 복용하기도 합니다. 고름이 많이 차면 고막을 절개하여 배농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외이도염

외이도염

제가 현재 겪고 있는 귀 질환입니다. 수영이나 샤워 후에 남아 있던 물이 외이도(귓구멍)에 남아 세균 감염을 일으키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혹은 평소에 면봉이나 손톱으로 귀를 심하게 후비다가 상처가 생긴 후, 그곳으로 감염이 발생하면 생기는 질환입니다.

외이도염 역시, 귀 안쪽이 욱신거리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귀를 당기거나 누르면 통증이 증가합니다. 가려움증 및 붓기, 고름 등이 분비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생제 또는 스테로이드 성분이 포함된 점이약(귀약)을 사용합니다. 평소에 물이 자주 들어가면서 생기기 때문에 귀를 건조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핵심 관리 방법입니다.

이관 기능 장애

귀 안쪽 욱신거림이 느껴진다면 이관 기능의 이상이 생긴 것일 수도 있습니다. 감기, 알레르기, 부비동염으로 인해 귀와 코를 연결하는 이관이 막히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귀 안쪽이 욱신거리고 압박감을 느끼고, 귀가 먹먹하고 소리가 울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비행기를 타거나, 엘리베이터를 타면 증상이 악화됩니다.

코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알레르기 약인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거나, 코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를 막고 입을 다문채 부드럽게 코로 숨을 내뱉는 발살바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이비인후과에서 고막 튜브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환기관 삽입술이라고 부르는 이 치료가 궁금하시다면 ‘대전을지대학교병원’ FAQ를 참고해보세요.

귀지 과다 축적

귀지 과다 축적

귀지는 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귀이개로 귀지를 함부로 파면 좋지 않죠. 하지만 과도하게 쌓인 귀지는 외이도를 막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귀지가 과도하게 쌓이면 귀 안쪽에 둔한 통증 또는 욱신거림이 느껴집니다. 귀가 먹먹하거나 난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삐 소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세척 또는 흡입기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귀지 제거 비용은 병원 마다 다르지만 1.5~2만원 정도 한다고 합니다.

턱관절 장애

이를 악무는 습관 혹은 이갈이가 있을 경우, 턱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턱관절의 염증이나 스트레스 및 과도한 저작 운동으로 인해서 턱관절에 무리가 생기면 귀 안쪽 욱신거림 증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귀 안쪽과 함께 턱 주변이 욱신거리는 통증이 느껴지고, 입을 벌리거나 씹을 때 통증이 증가한다면 턱관절 쪽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턱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면서 턱 마사지 및 온찜질을 해주면 좋습니다. 증상이 심하다면 근육 이완제 또는 항염증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

신경통

삼차신경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신경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귀 안쪽 뿐만 아니라 얼굴 한쪽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 씹거나 말을 할 때 증상이 악화된다면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신경통 완화를 위해 항경련제 복용하거나 신경 차단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귀 욱신거림 언제 치료

언제 병원에 가야할까?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이비인후과에 방문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 고름이 나오거나 출혈이 있는 경우
  • 고열이 동반되는 경우
  • 청력이 갑자기 떨어지거나 이명이 심해지는 경우
  • 얼굴 마비, 어지럼증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 증상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귀 안쪽 욱신 거림 예방 방법

귀 안쪽 욱신 거림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면봉 사용을 피하고 자연 배출을 유도하세요.
  • 귀에 물이 들어간 경우 면봉 대신 부드러운 천으로 닦아주세요.
  • 감기가 알레르기 관리로 이관이 막히지 않도록 하세요.
  • 스트레스를 줄이고 이갈이를 방지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귀 안쪽 욱신 거리는 통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는 외이도염으로 인한 가려움과 통증 때문이 지금도 이비인후과에 다니고 있는데요. 한 번 갈 때마다 몇 천원 씩 계속 내야 하더라고요. 시간과 돈을 낭비하기 싫다면, 평소에 외이도염을 비롯한 귀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