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적한 하얀 눈곱 생기는 이유 ‘이 질환’ 때문?

끈적한 하얀 눈곱이 생기는 이유는 안구건조증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일 확률이 크다고 합니다. 눈곱은 자연스러운 노폐물입니다. 눈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노폐물 등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기며 끈적하거나 딱딱한 결정으로 만들어지죠.

하지만 갑자기 양이 증가하거나, 색이나 농도가 바뀐다면 눈 관련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농도의 양이 증가하거나, 눈곱의 색이 하얀색 혹은 진한 노란색 등을 띄거나 하는데요. 각각의 눈곱 상태에 따른 눈 관련 질환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끈적한 하얀 눈곱

끈적한 하얀 눈곱 원인

평소 보다 양이 많거나 끈적한 하얀 눈곱이 생긴다면 다음과 같은 질환이 관련 있을 수 있습니다.

결막염

결막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알레르기 등으로 인해서 끈적한 눈곱이 생기는 질환인데요. 눈곱 뿐만 아니라 충혈, 눈 가려움, 이물감 등이 동반되는데요. 세균성 혹은 바이러스성 인지에 따라서 조금 다릅니다.

  • 세균성 : 누런색 또는 하얗고 끈적한 눈곱
  • 바이러스성 : 맑은 분비물로 시작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탁해질 수 있다.

세균성은 항생제 또는 안약, 연고 등을 사용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대개 자연 치유되는데요. 인공 눈물을 사용하면 비교적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알레르기성은 항히스타민제 안약을 투여합니다.

결막염은 전염되기 쉬운데요. 따라서 눈을 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을 철저히 씻고, 수건이나 베개는 공유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결막염

안검염

눈꺼풀 기름색이 막히거나 박테리아 번식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이 있다면 ‘안검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끈적한 눈곱, 눈꺼풀 붓기, 가려움, 속눈썹에 노란 비듬 같은 것이 나올수 있는데요. 보통 끈적한 하얀 눈곱이거나 노랗게 굳은 형태의 눈곱이 특징입니다.

눈꺼풀의 청결 관리가 중요한데요. 따뜻한 수건으로 찜질 후 눈꺼풀을 닦는 것이 좋습니다. 항생제 연고, 스테로이드 안약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눈화장은 자제하고, 클렌징을 철저히 하는 것으로 눈꺼풀의 위생을 유지합니다.

눈물길 막힘

눈물소관 폐쇄라고도 하며, 감임이나 노화, 염증 등으로 눈물길이 막힐 수 있습니다. 눈물흘림, 끈적한 눈곱, 눈 부위 부종 등이 특징입니다. 끈적하고 냄새 나는 눈곱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네요. 온찜질, 눈물길 마사지, 항생제 치료 등이 가능하지만 심하면 눈물길 재건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눈물길 폐쇄 유형 및 치료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새빛안과병원’ 페이지를 참고해보세요.

영유아 눈곱에서 자주 나타남

신생아 및 영아에서 자주 나타나는데요. 끈적한 하얀 눈곱이 계속 발생할 수 있는데요. 대부분 생후 수개월 내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편인데요. 필요 시 마사지 또는 안과 진료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눈곱에 따른 안과 질

눈곱에 따른 안과 질환

노란 눈곱

노란 눈곱이 지속적으로 나오다면 ‘급성 출혈 결막염’일 가능성이 큽니다. 증상이 많이 심하면 눈곱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한다고 합니다. 대부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지만 안약을 사용하고, 손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하얀 눈곱

하얀 눈곱이 생기는 경우는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눈꺼풀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눈 꼬리 부위에 마치 거품처럼 하얀 눈곱이 낀다면 눈꺼풀염 일 수 있습니다. 눈물흘림, 다래끼, 충혈, 눈꺼풀 부종 등의 증상이 동반 됩니다.

실 눈곱

실 눈곱이 자주 낀다면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 합니다.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눈물층의 불균형이 실처럼 얇은 형태의 끈적끈적한 눈곱을 끼게 만든 다고 합니다.

이것 이외에도 눈을 못 뜰 정도로 심한 눈곱이 끼었다면 유행성 결막염을 의심해볼 수도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눈곱 이상 시 주의사항

눈곱 이상 시 주의할 점

평소 보다 눈곱이 많이 나는 것 정도는 괜찮을 수 있지만 그 정도와 주기가 심하다면 안과에 방문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색이 진하거나 악취가 난다면 포스팅에서 소개한 특정 질환이 원인일 수도 있기 때문에 안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눈곱으로 인한 충혈, 통증, 가려움증, 눈물이 많이 나오고, 눈꺼풀이 부어오르거나 한다면 안과에 가야 겠죠. 저도 이전에 눈이 뻑뻑하고, 충혈 되어서 안과에 갔는데요. 결막염까지는 아니었기 때문에 2주 정도 안약을 뿌리니까 증상이 호전된 경험이 있습니다. 아마 그대로 방치했다면 치료 기간이나 회복에 힘이 들었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빠르게 병원에 가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눈 질환 예방

눈 질환 예방 방법

끈적한 하얀 눈곱이나 눈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손 씻기 철저히 하기
  • 눈 비비지 않기
  • 화장 도구 공유 하기 않기
  • 콘택트렌즈 위생 관리 철저히 하기
  • 충분한 수면과 눈 휴식
  • 눈 찜질이나 세척으로 눈꺼풀 청결 유지하기

끈적한 하얀 눈곱 생기는 이유와 각종 눈곱에 따른 눈 질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눈곱이 생긴다고 무조건 안구건조증이나 안과 관련 질환이 생긴 것은 아닙니다. 다만, 눈곱이 농도나 색깔에 따라서 꽤 심한 안과적인 질환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예방 방법도 간단하게 다뤘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