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톱 멍 빠지는 과정, 발톱 멍 빼는 방법은?

발톱 멍 빠지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발톱이나 손톱에 멍이 생기는 현상을 ‘조갑하혈’이라고 합니다. 일상 생활에서 발톱이나 손톱 멍은 쉽게 생기는 데요. 특히 문틈 사이로 발가락이나 손톱이 끼어서 충격을 받은 경우에 멍이 생길 수 있죠. 이런 경우에는 원인이 명확한데요.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역시 외상입니다. 외상이나 무리한 네일아트 등으로도 손톱이나 발톱에 멍이 생길 수 있는데요. 발톱 및 손톱에 멍이 생기는 이유와 이러한 멍이 빠지는 방법 혹은 빨리 빼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발톱 멍 생기는 이유

발톱 및 손톱에 멍이 생기는 이유

손톱이나 발톱 아래에 출혈이 생긴 것을 조갑하혈이라고 하며, 이것이 바로 멍입니다. 아래와 같은 이유로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외상 : 물건에 세게 부딪히거나, 무거운 물건이 떨어졌을 때의 충격으로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좁은 신발 : 발톱이 신발에 지속적으로 눌리거나 사이즈가 맞지 않는 신발, 특히 등산화나 하이힐 등을 자주 착용할 경우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장시간 달리기 : 발가락 끝에 반복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포츠 부상 : 축구, 농구 등에서 자주 발생하는데요. 발끝이 반복적으로 충격을 받는 경우에 발톱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무리한 네일아트 : 손톱에 강한 압력이나 화학물질 등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자극을 받게 되는데요. 이로 인해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혈액 응고 장애 : 혈소판 감소증 등이 있는 분은 쉽게 멍이 드는데요. 이러한 분들은 손톱이나 발톱 멍도 쉽게 들 수 있습니다.

발톱 멍 빠지는 과정

발톱 멍 빠지는 과정

일반적으로 멍이 들면 피부가 시퍼렇게 변합니다. 이후에 통증이 느껴질 수도 있고,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보통 2주 정도 있으면 사라지는데요. 발톱도 피부지만 조금 더 딱딱한 피부이기 때문에 회복 속도 및 과정이 다를 수 있겠죠. 발톱 멍 빠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출혈 직후 : 1~3일 정도 출혈 직후에는 검붉거나 자주 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있을 수 있는데요. 특히 외부 압력으로 인해 통증이 느껴집니다.
  • 출혈 고정 : 1~2주 후에는 색이 진해지고, 통증은 줄어듭니다.
  • 성장 시작 : 2~4주 후에는 출혈 부위가 위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새 발톱이 자라기 시작합니다.
  • 새 발톱 생성 : 2~4개월 이후에는 멍든 부위가 점점 밀려 올라갑니다.
  • 완전 탈락 또는 회복 : 6개월 ~ 12개월 후에는 멍든 부위가 끝까지 밀려서 떨어져 나가거나 거의 회복됩니다.

시간에 따른 발톱 멍 빠지는 과정을 정리해보았는데요. 발톱은 손톱 보다 자라는 속도가 느린 편이고, 이는 다른 피부와 비교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완전히 교체되려면 평균 6~12개월이 소요되고, 멍이 빠지는 것도 비슷합니다. 물론 멍이 아주 작게 생겼다면 회복 속도가 더 빠르긴 하겠죠.

손톱, 발톱 피멍에 대한 정보가 더 궁금하시다면 ‘닥터 코뿔소’ 유튜브 채널 영상을 참고해보세요.

발톱 멍 관리

발톱 멍 관리 방법

  • 초기 통증이 심할 때 : 통증이 느껴지는 발가락에 얼음찜질을 합니다. 통증이나 출혈이 심하다면 심장보다 발을 높이 올려서 붓기를 완화하는 것도 좋습니다.
  • 자르거나 뚫지 말기 : 발톱은 자를 수 있죠. 그런데 멍이 들었다고 해당 부위를 자르면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 편한 신발 착용하기 : 발가락 끝을 누르는 신발이 있는데요. 그런 신발은 발가락 통증을 악화시키고 출혈을 계속 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 청결 유지 : 감염 예방을 위해 매일 발 세척과 건조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네일 금지하기 : 손톱이나 발톱에 멍이 있을 땐 네일이나 젤 네일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멍이 심해질 때 생기는 질환

멍이 심해질 때 생기는 질환

조갑하혈 감염

출혈 부위에 세균이 침입해 농양 및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항생제, 배농술 등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감염 시 응급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발톱 탈락

멍 부위가 넓거나 압력이 게속 가해질 경우 발톱이 통째로 떨어져 나갈 수 있습니다. 새 발톱이 자랄 때 까지 청결을 유지하면서 외부 이물질로 부터 발을 보호해줘야 합니다.

흑색종

발톱 멍 빠지는 과정으로 시간을 보낸 후에도 계속해서 검은 빛이 발톱에서 사라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검은 줄이 점점 퍼지거나 변형될 경우에는 악성 흑색종을 의심해볼 수도 있습니다. 즉시 피부과에 방문한 후, 조직검사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무좀

무좀

멍으로 인한 손상 부위에서 곰팡이균이 감염될 수도 있는데요. 이럴 경우 무좀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항진균제를 복용하거나 외용제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영구손상

반복적인 외상으로 발톱 뿌리까지 손상 되면 발톱이 변형되거나 영구 탈락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피부과 치료를 받거나 손톱 재건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발톱 멍 빠지는 과정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발톱의 멍이 사라지지 않았다면, 이러한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발톱 멍 빠지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발톱에 생긴 멍이 자연스럽게 사라지려면 6~12개월, 길게는 24개월 이상 걸리기도 하는데요. 이렇게 외부 충격으로 인해서 생긴 멍은 찜질과 보습으로 최대한 자극이 덜 가게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발톱에 생긴 멍을 없애고 싶은 분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