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안이 텁텁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입안에 마르면서 신경이 쓰이실 것 같은데요. 특정 수술을 받거나 약을 먹을 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예전에 지인도 특정 약을 먹을 때, 입안이 자주 말라서 목 캔디 같은 것을 드시기도 했었죠. 어떨 때는 물을 마셔도 텁텁한 느낌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입안이 텁텁할 때, 대표적인 원인이나 특정 질환이 어떤지 살펴보고, 이를 해결 하는 방법, 관리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안이 텁텁한 증상 원인
입안이 텁텁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아래와 같은 것들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구강 건조증
침 분비량이 줄어들면 입안이 마르고, 끈적이거나 텁텁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구강 건조증이라고 부르는데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화
- 특정 약물(항우울제, 항히스타민제, 고혈압약 등)
- 당뇨병
- 쇼그렌 증후군 같은 자가면역질환
- 스트레스나 긴장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5L 정도의 침이 분비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서 이보다 침이 적게 나오면 입안이 마르고 건조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을 구강 건조증이라고 부릅니다. 구강 건조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및 검사는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혀나 입안 청결 불량
혀, 구강 내에 세균이나 음식 찌꺼기, 죽은 세포 등이 쌓이면서 텁텁한 느낌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물을 마셔도 해결이 되지 않거나 구취 등이 동반 된다면 입안 청결 문제로 인한 텁텁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위산이 식도나 입안까지 역류하면서 쓴맛 또는 금속 맛, 텁텁한 맛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자주 트림을 하거나 목이 따끔한 경우도 많습니다.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
알레르기 비염, 축농증 등으로 코 뒤로 콧물이나 점액이 넘어오면 입안이 끈적하거나 텁텁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입이 마르거나 냄새가 이상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편도결석
편도에 노폐물과 세균이 엉겨 생기는 작은 결석이 구취와 함께 텁텁한 느낌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혈당 이상 또는 당뇨병
고혈당 상태에서는 침이 끈적거리거나 마르기 쉬워 입안의 텁텁함과 구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입이 마르면서 단맛이 돌기도 하는데요. 입안이 텁텁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위장 건강 문제
위열, 위장염 등이 있을 때, 입안이 마르고 끈적이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합니다.
약물 부작용
일부 약물은 침 분비 억제, 미각 변화, 입 마름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약물로 인해 입 마름이 발생한다면, 증상에 따라 상담 후, 약을 바꿔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물을 마셔도 입안이 텁텁한 경우
입안이 텁텁한 증상이 온다면 대부분 물을 마시게 됩니다. 물을 마셔도 입안 텁텁함이 나아지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침 분비가 줄거나, 침의 질이 나빠진 경우
물은 일시적으로 입안을 적시지만, 끈적한 침이나 세균막을 제거하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물을 마셔도 입안이 텁텁한 증상이 유지될 수도 있 죠.
설태가 두껍게 낀 경우
설태는 혀의 백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백태는 물로는 제거 되지 않기 때문에 혀 클리너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정 질환
입안이 텁텁한 증상이 나타날 때의 원인에서도 살펴보았지만, 역류성 식도염이나 축녹증, 비염 등으로 인해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물을 마셔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세균이나 바이오필름
입속에 있는 세균막은 물로 헹구기만 해서는 제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원인들을 제거해줘야 합니다.

입안의 텁텁함 해결하는 방법
구강 위생 개선
- 혀 클리너로 설태를 제거합니다.
- 구강 세정제를 사용합니다. 무알콜 제품이 좋습니다.
- 양치 시 치간 치솔이나 치실을 사용합니다.
- 자극적인 음식 후에는 반드시 양치질을 합니다. 양치질을 하기 어렵다면 물로 헹궈줘도 좋습니다.
침 분비 촉진하기
- 무설탕 껌이나 구강 전용 사탕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 물을 자주 마시되, 한 모금씩 천천히 삼키는 것을 추천합니다.
- 입 호흡 대신 코로 숨셔봅니다. 입으로 호흡할 경우, 입이 쉽게 마를 수 있습니다.
- 입 마름 방지 스트레이 또는 젤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음식 조절
- 너무 짜거나 매운 음식, 커피 술을 줄입니다.
- 침을 자극하는 신맛이 나는 나일인 귤, 레몬, 자몽 등을 활용합니다.
-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인 당근, 케일, 비트, 브로콜리, 아보카도 등을 먹습니다.
병원 치료
- 치과 : 편도결석, 설태, 충치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합니다.
- 이비인후과 : 비염, 축농증 등을 확인하고 맞는 치료에 들어갑니다.
- 내과 : 당뇨, 위장 건강, 약물 부작용 등을 점검합니다.
- 필요 시 구강 건조증 전문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입안이 텁텁한 증상의 원인과 이것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보통 이러한 증상을 검색할 정도라면 물을 마셔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많을 것 같은데요. 특정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병원에 가셔서 진단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혹은 생활 습관 및 특정 약물 때문일 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