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때 침 안 흘리는 법, 자주 흘린다면 참고하세요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에 대해서 궁금하신가요? 어릴 때, 자주 잘 때 침을 흘렸었는데요. 혹은 너무 피곤해서 말 그대로 곯아 떨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입에서 침이 흘러 난감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는데요. 특히 학창 시절, 수입 시간에 잠에 들고, 침을 흘리면 민망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있죠.

날이 풀렸다가 갑자기 쌀쌀해지기는 했지만, 이제 곧 4월이 다가 오니, 춘곤증이 스윽 하고 다가오는 것 같은데요. 춘곤증 같이 졸음이 쏟아지는 증상을 자주 겪는 분들은 자면서 흘리는 침과 더 친숙하실 수도 있겠죠. 오늘은 잘 때 침을 흘리는 이유와 안 흘리는 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잘 때 침 흘리는 이유

잘 때 침 흘리는 이유는?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전에 먼저 잘 때 침을 흘리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원인부터 파악해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겠죠.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

입을 벌리고 자면 아무래도 자연스럽게 침이 흐르겠죠. 코막힘, 비염, 구강 구조 문제로 인해 입을 벌리고 자면 침이 흘러나옵니다.

근육 이완 및 수면 자세

깊은 수면 상태에서 얼굴 근육이 이완되어 침 조절 기능이 약해집니다. 특히 옆으로 자거나 엎드려 잘 경우, 중력 때문에 침이 흘러나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개인적으로 엎드려 자는 자세는 허리에도 좋지 않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타액 분비 증가

매운 음식이나 신 음식을 섭취 했다면 타액(침) 분비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혹은 항우울제, 일부 항생제 등의 특정 약물을 섭취하면 침 분비를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 및 피로 누적

피로가 심하면 얼굴 근육이 더 이완 되면서 침 조절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부정 교합 및 혀 위치 문제

혀가 입천장에 있지 않고, 아래쪽으로 처지면 침이 쉽게 흘러나올 수 있습니다.

잘 때 침을 자주 흘린다면

잘 때 침을 자주 흘린다면 의심할 수 있는 질환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을 다루기 전에 의심 질환까지 짚고 넘어가 보겠습니다.

비염 및 축농증

비염에 걸리면 자주 코가 막히는 느낌이 듭니다. 코가 막히면 입으로 호흡하는 습관이 생기는 데요. 이때, 침이 흐를 가능성이 높죠. 자기 전에 자주 코가 막혀서 불편함을 호소한다면 코 막힐 때 자세 혹은 자기 전 코 세척 등을 하면 좋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수면무호흡증에 걸리면 코골이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이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질환

위산이 역류하면 목이 불편해지고 침 분비가 많아질 수 있습니다.

신경계질환

뇌졸증, 파킨슨병 등의 신경계 질환이 있으면 침을 삼키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또는 편도선염

편도가 부으면 목 안이 좁아지고, 입으로 숨을 쉬게 되어 침이 흘러나올 가능성이 커집니다.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

잘 때 침 안 흘리는 방법

코로 숨 쉬는 습관 기르기

  • 비염, 코 막힘을 해결하는 것이 좋은데요. 알레르기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비염이나 축농증을 해결하는 것도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 중에 하나 입니다.
  • 입 대신 코로 호흡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잠을 잘 때 뿐 만 아니라, 낮에도 코로 숨 쉬는 연습을 하면 무의식적인 습관을 개선하기 좋습니다.

수면 자세 교정

  •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으로 수면 자세 교정이 있습니다.
  • 옆으로 자는 자세 피하기 : 옆으로 자는 습관을 가지면 침이 중력 때문에 흘러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옆으로 자는 습관을 들이면 베개에 침이 흘러 묻을 가능성이 크죠.
  • 바르게 누워 자기 : 베개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를 만드는 것이 올바른 수면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올바른 수면 자세

혀 및 입 근육 운동

  • 혀를 입천장에 붙이고 삼키는 연습을 하면 침 조절 능력이 향상된다고 합니다.
  • 혀 근육 강화 운동도 도움이 됩니다. ‘이~’, ‘우~’ 하는 소리를 내면서 하는 혀 근육 강화 운동이 있다고 합니다.

침 분비 조절하는 식습관

  • 자기 전에는 신맛이 나는 음식 피하기 : 침 분비를 촉진하는 귤이나 레몬 같은 신맛이 나는 음식을 피합니다.
  • 매운 음식 줄이기 : 저는 매운 음식을 보거나, 생각하면 침이 고이는데요. 실제로 매운 음식을 먹으면 과도한 침 분비가 나올 수도 있는데요. 특히 야식을 먹는 것이 침 분비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입 테이프

입 테이프 활용하기

  •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으로 구강 테이프 활용이 있습니다.
  •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이 있다면 구강 테이프를 붙이고 자는 연습을 해보세요.
  • 코 호흡 습관을 기르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구강 테이프는 호흡과 관련된 제품이기 때문에 사용 전 연습은 필수입니다. 코 호흡에 익숙해질 때 까지, 깨어있는 상태에서 연습해야 합니다. 또한 수면 무호흡 환자와 같이 코를 이용하기 힘든 경우에는 호흡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실제로 ‘건강지키미’ 건강매거진에서 잘 때 ‘구강 테이프’를 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을 다루었기 때문에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수면 환경 개선하기

  • 침이 과도하게 흐르는 것은 깊은 수면 방해가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숙면을 위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주면 좋은데요.
  • 편안한 베개 사용 : 너무 높은 베개는 목을 눌러 침이 흐르게 할 수 있습니다.
  • 실내 습도 유지 : 실내 적정 습도가 있습니다. 약 50~60% 인데요. 실내 온도에 따라서 조금 씩 차이가 납니다. 기본적으로 너무 건조하면 입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습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 수면 환경이 별로 라면 바꾸는 것도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 중에 하나가 되겠죠.

잘 때 침 안 흘리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고 일어 날 때, 흠뻑 젖은 베개 때문에 놀란 적이 있는데요. 이렇게 침을 흘리는 이유는 단순 피로 때문일 수도 있지만, 특정 질환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해당 질환을 진단한 후,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양질의 수면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