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 밥이 안 맞는 사람의 특징은 현미를 소화하기 힘든 소화기관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 쉽게 말해 현미를 먹고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분을 말합니다. 현미는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흰 쌀 밥 보다 영양분이 많다고 여겨져서 저희 집에서도 한 동안 현미를 먹었는데요. 현미를 먹으면 소화가 잘 안되는 것을 느끼는 분이 있어서 가끔 먹는 걸로 바꿨죠.
이처럼 현미는 건강한 식품이지만 소화가 잘 안되는 분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현미의 효능과 현미 밥이 잘 안 맞는 분의 특징, 그리고 현미 밥 먹는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미 밥 안 맞는 사람 특징
현미는 정제되지 않은 통곡물이라서 여러 영양분이 풍부합니다. 하지만 이 특징 때문에 일부 사람들에게 소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미 밥이 안 맞는 사람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화 능력이 약한 사람
평소에 음식물 소화가 잘 안되는 분들은 현미밥이 잘 안 맞을 수 있습니다. 특히 위염,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위혐 등의 위장 질환이 있는 분들은 복통, 복무 팽만, 가스참, 설사 등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노인 및 어린이
노인과 어린이는 소화기간이 예민하거나 미성숙할 수 있끼 때문에 현미 밥이 안 맞는 사람에 속할 수 있습니다.
치아나 씹는 힘이 약한 사람
현미는 백미에 비해 단단하고 질긴 편입니다. 따라서 꼭꼭 씹어 먹어야 하는데요. 치아 및 씹는 힘이 약하다면 현미를 먹는 것 자체가 불편할 수도 있고, 자연스럽게 위에서 소화가 잘 되지 않게 됩니다.
갑상선 질환 있는 사람
현미에 들어 있는 피틴산이라는 성분이 요오드 흡수를 방해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갑상선 질환이 있는 사람은 현미 밥이 안 맞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철분 결핍성 빈혈 환자
피틴산이 철분, 칼슘 등의 미네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현미 밥이 안 맞는 이유는?
현미는 겉껍질이 남아 있는 곡물이라 아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식이섬유
- 피틴산
- 질긴 식감
식이섬유가 너무 많아 위와 장에 부담이 갈 수도 있습니다. 피틴산이라는 물질이 미네랄 흡수를 방해합니다. 질긴 식감은 소화 여려움을 불러오는데요. 이것으로 인해 가스가 생성되고, 복부 팽만감이 들 수 있습니다. 건강에 좋은 곡물이지만 잘 못 먹으면 역효과가 날 수 있는 식품이라는 겁니다.

현미밥 먹는 올바른 방법
현미 밥이 안 맞는 사람도 조리 방법에 따라 어느 정도 소화하기 편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충분히 불리기
6 ~ 12시간 정도 물에 불리면 단단한 껍질이 부드러워지고 소화가 쉬워집니다.
압력 밥솥이나 전기밥솥 이용
고온에서 조리하면 식감이 부드러워집니다.
백미와 섞어 먹기
2:1 또는 1:1로 백미와 섞어서 먹으면 소화하기 더 좋습니다. 100% 현미는 위장 건강에 좋은 사람도 부담스럽죠. 실제로 저희 집에서도 100% 현미가 아닌, 다른 쌀과 섞어서 밥을 지은 적이 많습니다.
꼭꼭 씹어서 먹기
이건 습관에 가까운데요. 현미를 잘게 씹어 먹어야 위에 부담이 덜합니다.
발아 현미
발아된 현미는 일반 현미 보다 소화가 더 쉽고 영양 흡수율도 높습니다.
현미밥 맛있게 짓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만개의 레시피’ 사이트를 참고해보세요. 다양한 요리 레시피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현미밥의 대표적인 효능
현미는 잘만 먹으면 건강에 아주 뛰어난 식품입니다.
- 혈당 조절 : 현미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혈당이 천천히 올라갑니다.
- 다이어트 : 포만감이 크고 칼로리가 낮은 편이라 다이어트에 좋습니다.
- 장 건강 개선 : 불융성 식이섬유로 변비 예방에 좋습니다.
- 콜레스테롤 저하 : 혈중 LDL 콜레스테롤 감소 가능성이 커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습니다.
- 항산화 효과 : 비타민 E, 셀레늄 등의 항산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추천합니다.
현미 밥이 안 맞는 사람의 특징과 왜 현미밥이 맞지 않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현미밥은 건강에 좋은 다양한 효능을 제공하지만, 소화가 잘 안 될 수 있기 때문에 만들 때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미밥의 효능을 이끌어 내면서, 부작용을 덜고 싶은 분에게 오늘 포스팅을 추천합니다.